유압배관 오일플러싱

오일속 수분제거 테스트 입니다. 더 저렴한 오일정제를 위해....

거성이엔씨 2019. 5. 30. 12:12

오늘은 오일정제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정제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산업사회에서 오일을 빼놓고는 아무말도 못할 만큼 중요합니다.

국제 유가에 따라서 오일가격도 오르락 내리락 하죠?

설비의 수리경비절감과 수명연장을 위한 첫번째 관싱대상은 오일의 관리에 있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사용중인 오일의 수명을 늘리고 설비의 고장을 줄이는 방법!

일년에 두세번씩 오일을 교체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렇게 자주 오일을 교체한다면 설비수리비용 만만치 않은 경제적인 부담이 될수밖에 없습니다.

오일을 두배 세배 더 오래 사용하는 방법이 바로 사용중인 오일의 정제 입니다.

정제는 어떻게 해야 오일의 수명을 늘릴수 있을까?

사용하는 작동유에 따라 정제방법도 달라야 합니다.

가장많이 설비에 악영향을 주는것이 오일속에 들어있는 오염입자 입니다.

첫째..오일속의 오염 입자를 없앤다.

1,신유수준까지 오염입자를 제거한다.

2,신유이상 더 청정하게 오염입자를 제거한다.

3,신유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오일사용유 기준까지 오염입자를 없앤다.

바로 오일정제의 기준은 신유입니다.

신유의 오염도 측정결과치(nas8~9)

를 기준으로 정밀한 장비에는nas5~7

조금더 덜 정밀한 설비에는nas8~10

정제를 실시하기전에 오일의 샘플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정제여부와 정제방법을 정하여 정제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오염도 측정방법은 오염도 측정장비를 사용하는데 측정장비의 성적서를 확인하여야 하며 검사받은 기간이 2~3년이 지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오일 정제시 오일의 온도는 60도 이하에서만 작업 하여야하며 60도가 넘어가면 오일의 성상이 변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반드시 60도 이하를 지켜야 합니다.

이렇게 오염입자 제거와 관련한 정제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다음은 수분 산과 탁도 점도 등이 있습니다. 정제를 너무 오래하지 않고 방치(2년이상)하여 사용하셨다면 신유로

교체 하시는게 맞습니다.

1년에 한번 정도씩 정제작업을 하셨다면

수분,산과,탁도,점도등의 변화가 훨씬 적음을 아실겁니다.

그리하여 1년에 한번정도씩 정확한 정제작업을 한다면 정제작업을 하지 않을때보다 오일교체비용과 설비의 고장으로인한 경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kimbiser2/221534394293

클릭 하시면 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오일속의 오염입자(바니쉬,카본,철,스케일,수분..)

가 필터속에 제거되는 동영상 입니다.

오일정제 작업은 정확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제가 설명드린 부분의 문제점들이 해결될것입니다. 반드시 정제전과 정제후의 오일검사가 그래서 필요합니다.

각종 정제작업과 배관플러싱 오일오염도 검사 사진들을 올려보았습니다.

오일정제와 배관플러싱 전문기업

거성이앤씨

경주시 강동면 강동산단로108

054-762-8583

#오일정제 #오일플러싱 #배관플러싱